어떻게, 회복기혈장(convalescent plasma)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응하여 생명을 살릴 수 있게 되었나?
문제 :
약물이나 백신은 개발하는데 수 개월 수년이 걸림
해결책:
회복한 사람들의 혈액에서 혈장을 채취하여
감염환자들에게 직접 투여. 지금 당장 사용할 수 있도록 함
혈장 사용 전례 :
SARS, 에볼라 집단감염에서 효과를 보였으며,
중국에서는 COVID 19의 대응책으로 사용.
임상시험 진행:
미국전역의 대학병원들이 회복기혈장이 얼마나 잘 작동하는지 실험에 착수할 예정.
FDA 임상시험 제안서를 제출하도록 허용
전개방향:
충분히 잘 작동하더도 올해말 회복기혈청은
현대적인 치료법으로 대체될 것임
A:
이전에 봤던 영화'감기'가 생각나는 대목이네요..!
회복자의 항체를 주입하는것은 효과가 있어보이긴 하나
입증된것이 없어 이번에 미국은 효과를 실험해본다고 합니다.
B:
회복한 환자의 혈장을 다른 환자한테 투여한다는 것이죠?
이러한 방법으로 효과가 있었다면
정말 코로나에 진압을 위해 빠르게 쓰일 수 있는 방법이 되겠네요
C:
혈장을 사용하면 당장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보이는데
문득 회복기인 사람으로부터 치료할 사람수 만큼의
혈장을 제공할 수 있는지 궁금해지네요.
코로나는 사망률이 낮아서
부작용이 밝혀지지 않은 혈장치료까지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들도 있네요.
임상시험을 진행하여 그 치료효과를
확인하게 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D:
백신과 또 다른 치료책이네요.
회복한 환자의 혈장을 감염자에게 주입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면,
백신 개발 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어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겠네요.
E:
치료제가 개발되지않은 감염증에 대해서 많이쓰이는방법인데
혈장제공분량이될지...
혈장분석을해서 해당 항체를찾는 방법을통해야
효과적으로 활용할수있을것 같다는생각이드네요
'HOW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인두암 치료를 위한 면역 항암제의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면역학적 분류법 개발 (0) | 2020.04.11 |
---|---|
식약처 바이오 시밀러 지원을 위해 지원단 만들어 (0) | 2020.04.11 |
미국심장학회, 온라인 학술대회 열어. PCSK9억제제와 RNA치료제, 벰페도익산의 새로운 데이터 선보여 (0) | 2020.04.04 |
미 정부 , 슈퍼컴퓨터 도입하여 코로나 치료제 개발중 (0) | 2020.03.27 |
SK바이오 사이언스, 코로나 19 백신 후보물질 발현 성공, 전임상 단계 돌입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