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핵심인재 확보와 이들의 산업계 진출을 지원하는 키우리 사업에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포항공대 등 4개 대학을 선정했다. 키우리 사업은 이공계 박사의 학계·연구계로 편중된 진로를 산업계로도 넓히기 위해 기획됐다
서울대학교 - 인공지능 기반 헬스케어, 정밀의료, 중개의학 분야의 융합형 바이오 인재 육성
*참여 포닥 : 기술사업화 및 창업교육 프로그램 제공, 바이오 분야 CEO들과 교류할 수 있는 Bio-Connect 포럼을 개최, 기업체 단기연수 추진 예정
성균관대학교 - 연료·이차전지, 광촉매, 바이오마커 등 에너지·환경 및 바이오·의약 분야의 고급 연구인재 육성
*참여 포닥 : 교원에 준하는 지위와 인프라 지원. 참여 포닥 간 공동연구, 강의 기회 등을 제공해 독립연구자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
연세대학교 - 차량 구조·제어, 기능성소재, 에너지소재 등 미래 자동차용 핵심 소재·부품 분야의 신진 연구인재를 육성
포항공과대학교 - 바이오 분자집게 기술을 활용한 치료제, 진단 시스템 등 분야의 바이오 리더 연구자 육성
*참여 포닥 : 강소R&D특구나 바이오산업단지 등 지역 산업기반과 적극 연계하고 대학 내 바이오벤처 창업을 성공시킨 경험과 전문성을 활용
선정된 4개 대학 모두 포닥의 연구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독립된 연구공간 제공, 연구행정 지원, 멘토교수단의 연구자문 등을 제공하는 한편 대학 전반의 신진연구자에 대한 처우개선 및 투자도 강화할 계획이다.
A: 바이오 동향에 걸맞는 기사인지 조금 고민은 되었는데.. 이공계 특히 바이오분야에서의 산업계로의 진출을 지원하는 제도가 눈에띄어 기사 가져와 보았습니다. 이런 정부차원의 지원을 통해 학교 내에서 포닥이 더 좋은 입지를 가질 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 어느쪽이든 알엔디 키우려는건 좋아보이지만
학교단위선정보다는 기술단위로 사업단을 만들었으면 좋았을텐데,하는 아쉬움이남습니다
안그래도 과제비 많이받는곳들인데 기술단위로해서 참여기관의 범주를 좀더넓혀 실력있지만 과제비가 모자른 기관이나 연구실들과 기술집약적인 형태가나왔으면 어땠을까싶네요..
C: 음...동감하는 바입니다.메이저 대학원중에 카이스트 뻬고는 다 있네요 ㅋㅋ 미래의 유망한 산업분야에 이공계박사분들이 많이 일해주시면서 보다 발빠르고 발전된 분야들이 생겼으면 하네요.
http://m.weekly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75288
이공계 포닥 지원하는 키우리 연구단 선정
[위클리오늘=윤종수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첨단 기술혁신을 주도할 핵심인재 확보와 이들의 산업계 진출을 지원하는 ‘혁신성장 선도 고급연구인재 성장 지원’ 키우리 사업에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포항공대 등 4개 대학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키우리 사업은 그간 이공...
m.weeklytoday.com
'HOW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네릭 난립으로 인한 보건복지부의 새로운 약가제도 과연 합리적인가 (0) | 2020.08.04 |
---|---|
인간의 정자 운동방법, 3D 현미경과 수 이용하여 재구성하다. (0) | 2020.08.04 |
제넥신과 신라젠 임상2상 실험결과, 3상까지의 전망은? (0) | 2020.05.03 |
면역치료와 화학요법을 융합하여 고형암치료를 돕는다 (0) | 2020.05.03 |
2020 제네릭의 전망은 어떠한가? (0) | 202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