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치료와 화학 요법을 융합하여 암을 치료하는 면역요법을 개발
연구목적: 고형암에서 암 조직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세포외 기질로 자연 살해 세포 침투력이 낮아 치료효과가 낮은상황.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 진행
가설: 자연살해 세포가 암세포 사멸유도를 위해 경계면에서 낮은 산성도의 과립 방출, 시냅스 부근에서 산성도가 급격히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움
연구: 1, 가설기반 자연 살해 세포 표면에 낮은 산성도에 감응하여 항암제를 방출 할 수 있는 고분자 마이셀을 탑재하여 암세포에서 선택적으로 항암제를 방출하는 시스템 구현 2.항암제가 종양심부로 들어갈 만큼 작은 크기로 만들어 암세포 사멸을 유도
결과: 자연살해세포- 암세포 사이에 형성된 면역 시냅스에서 산성도가 낮아지고 ReNK를 선택적으로 방출. 고형암에 ReNK를 전달할 때 암조직으로의 전달효율 증가
기대효과: 간단한 공정으로 세포에 적용가능하여, 시판되거나 임상시험중인 치료법에도 적용 가능할것
A: 이외에도 NK cell을 이용한 다양한 암세포 치료 연구가 진행중이네요
NK세포 배양 구조체 개발…”암세포 전이 60% 감소” – Sciencetimes
www.sciencetimes.co.kr
B:엔케이쎌을 암 타겟팅용으로사용한 방법이군요. 이것도 세포치료제로 보아도될까요..?
근데 엔케이셀이 타겟팅용도로사용된거라면 다른 셀에도 응용될 수 있는부분인것같네요 티셀이라던가..?근데..ReNK. 이거 어디서 낯익다했더니 고현정이선전화장품이랑 이름이 겹치네요ㅋㅋㅋ그리고 이미 카티처럼 엔케이셀도 카-엔케이치료라는 기술이있었군요..요새진짜 항암제쪽 기술이 날로발전하고있는거같아서 놀랍습니다
C:기존에 면역항암제는 T세포를 이용한 것만 주로 접했었는데, nk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었군요! 접근 방식이 새롭네요. 기사 내용만으로 봣을때는 위 치료법이 nk세포가 세포외 기질로부터 고형암으로의 침투력을 높인건지는 잘 모르겠네요ㅜ 선택적으로 항암제를 방출하는것 같긴한데.. 암세포를 적극적으로 타겟팅할 수 있는 기전과 함께 적용되면 시너지 효과를 가질 수 있지않을까 생각해보았습니다.
자연 살해 세포의 면역시냅스 형성을 이용한 암 치료법 개발
우리 몸에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파괴하는 면역세포, 즉 자연 살해 세포가 존재한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이 자연 살해 세포의 면역 치료와 화학 요법을 융합하여 효과적으로
www.ibric.org
'HOW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기술 통신부, 이공계 박사의 산업계 진출 키우리 사업 대상 대학 선정 (0) | 2020.05.06 |
---|---|
제넥신과 신라젠 임상2상 실험결과, 3상까지의 전망은? (0) | 2020.05.03 |
2020 제네릭의 전망은 어떠한가? (0) | 2020.05.03 |
약효가 오래가는 당뇨병 치료제 개발, 한미의 랩스커버리와는 또 다를까 (0) | 2020.05.03 |
제네릭 공동생동 규제 무산 (0) | 2020.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