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OW59

폐식품을 이용해 바이오 플라스틱 만들어 바이오플라스틱이 최근 들어 폐식용유나 폐우유처럼 버려지는 식품을 원료로 새롭게 개발되고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 폐식용유로 만든 바이오플라스틱이 3D 프린팅 원료로 사용 3D 프린터용 필라멘트(filament)의 분자가 식용유의 지방 분자와 유사하다는 점을 발견했다. 1L의 폐식용유를 사용하여 약 400ml 이상의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력물을 땅에 묻은 지 2주 후에 꺼내서 무게를 측정하자 20% 정도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방해요소가 없다면 5~6개월 안에 완전 분해가 가능하다. - 카제인으로 만든 바이오 플라스틱으로 폐우유 재활용 폐우유에서 추출한 카제인을 사용하여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들었다. 연구진이 개발한 바이오플라스틱은 나무칩과 목재 섬유, 그리고 우유의 단백질 성.. 2020. 3. 27.
유전자 편집기술, 암치료 영역으로 확대되어 활용돼 CRISPER기술, 암 치료 영역으로 확대 기존의 CRISTER 기술과 T세포 면역요법 2가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CRISPER 유전자 편집기술의 안정성을 확인했다. 원리: 면역억제력을 떨어뜨리고 필요한 면역력을 강화시켜 암세포에대한 면역력 강화 - 1. 면역억제반응을 하는 PD-1단백질 코딩 유전자 knock out으로 면역억제력 감소 2. 여러암에 높게 분포하고 있는 항원 NY-ESO-1에 대한 T세포 수용체 유전제 삽입하여 면역력 강화 결과: 치료효과보다는 편집기술의 안정성을 확인했다는데 의의 기대효과: 필요한 유전자 추가 및 불필요한 유전자 제거로 강력한 T세포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질 것을 기대 한계: Off target시 발생가능 A: 지난번 유전자 편집기술을 이용하여 안과 관련 희귀질병을 치료했던.. 2020. 3. 20.
한국 진단키트, 박사, 교수 출신의 전문가들이 신속한 진두지휘의 결과 최근 한국에 여러 국적의 나라가 진단키트에 대한 문의를 하며 대량 생산한 회사 4곳 모두 박사, 교수가 대표인것으로 확인되었다. 빠르게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대량생산한것은 그들의 빠른 의사 결정 덕분이었다. A: 지난번 한국의 코로나 대응과 관련하여, 한 부분이었던 키트에 대한 비하인드 내용입니다. 알고보니 4개의 회사모두 박사,교수 출순이더라구요, 그래서 중국에서 바이러스감염소식이 전달되자마자 바로 연구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이제 다시 상반기 채용이 시작되는데, 회사를 고르실때 이러한 부분도 참고하시면 좋을것같아서 가져왔습니다! 확실히 회사 대표의 연구 이력에 따라서 회사 전체의 연구 분위기나, 속도 및 성장에 차이가 난다는것을 느낍니다. 사담이지만, 현직장의 대표가 박사,교수 출신이 아니라ㅋㅋ 확실히 연.. 2020. 3. 19.
실명유전질환 환자, 최초로 '유전자 편집가위'의 수혜자돼 실명을 초래하는 유전질환에 걸린 사람이, 세계 최초로 체내에 투여된 CRISPR–Cas9 치료제의 수혜자가 되었다. 타겟유전질환 : 레베르선천흑암시(LCA10: Leber’s congenital amaurosis 10)로 소아기의 실명을 초래하며 현재까지 치료방법이 없음 이 유전자 질환이 초래하는 변이를 제거할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 기존의 임상시험 접근 : 환자의 몸에서 추출된 세포의 유전체를 CRISPR–Cas9을 이용해 편집한 다음, 환자에게 재주입 이번 임상시험의 차별점 : CRISPR–Cas9 기법을 환자의 체내에 직접 투입 👉 LCA10의 주범인 유전자의 변이를 삭제 기대되는 결과 : CEP290의 변이로 불능화된 망막의 광수용체를 재활성화 하여 시력 향상 A: 유전.. 2020.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