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국에 여러 국적의 나라가
진단키트에 대한 문의를 하며 대량 생산한 회사 4곳 모두
박사, 교수가 대표인것으로 확인되었다.
빠르게 진단키트를 개발하고 대량생산한것은
그들의 빠른 의사 결정 덕분이었다.
A:
지난번 한국의 코로나 대응과 관련하여,
한 부분이었던 키트에 대한 비하인드 내용입니다.
알고보니 4개의 회사모두 박사,교수 출순이더라구요,
그래서 중국에서 바이러스감염소식이 전달되자마자
바로 연구에 착수했다고 합니다
이제 다시 상반기 채용이 시작되는데,
회사를 고르실때 이러한 부분도 참고하시면 좋을것같아서 가져왔습니다!
확실히 회사 대표의 연구 이력에 따라서 회사 전체의 연구 분위기나,
속도 및 성장에 차이가 난다는것을 느낍니다.
사담이지만, 현직장의 대표가 박사,교수 출신이 아니라ㅋㅋ
확실히 연구의 진전이 다소 느림을 느끼고있습니다 ㅎㅎㅎ
B:
RT PCR로 진단을 할 수 있는데 미국에서는 인당 드는 가격이 상당하네요.
특별한 기술이 아닌데도 말이죠..
씨젠과 솔젠트 주가도 그제 어제 상당하게 올랐던데
중소기업의 빠른 결단력이 기업에 굉장한 득이 됐네요.
셀트리온이 백신개발에 많은 량의 돈을 투자했다는 기사를 봤는데
가장 먼저 수혜를 보는 기업은 또 어디일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A:
넵 맞습니다 그래서 현재 기사의 4개회사의 해외수출도 커지고 있다네요!
어찌보면 이러한 상황이 기업에게 큰 이득이 된것이지요
C:
저 네군데모두 전공자들이 리드를하고있었군요ㅎㅎ
누구보다발빠르게 움직여서 기술력을확보한덕분에
지금 우리나라가 다른나라에비해
비교적 안정적인것이아닌가하는 생각이듭니다ㅋㅋㅋ
D:
대표가 박사, 교수 출신인것이 베이스가 되어서
회사의 연구력이 좌우된다는 점이 납득이 가네요..
기회라고 표현하기는 뭐하지만...
때를 놓치지않을 수 있었던건 그만큼 실력이있었기 때문인것 같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취준하는 입장으로는 내실을 잘 갖추어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네요 ㅎㅎ
E:
회사 규모가 커질수록 절차는 많아지고 그로 인해 속도가 저하되고...
이번 진단키트 생산은 진짜 중소기업이기 때문에 빠르게 개발된 거도 있는 것 같아요.
저는 코로나 사태 전까지 진단키트 회사는 중소기업이 많아
긍정적으로 보지는 않았는데요.
중소기업이었기 때문에 이뤄낸 성과라고 생각해서 놀랍기도 해요.
'HOW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식품을 이용해 바이오 플라스틱 만들어 (0) | 2020.03.27 |
---|---|
유전자 편집기술, 암치료 영역으로 확대되어 활용돼 (0) | 2020.03.20 |
실명유전질환 환자, 최초로 '유전자 편집가위'의 수혜자돼 (0) | 2020.03.18 |
섬유아세포로 세포 시계 되돌려 배아줄기 세포와 흡사한 수준으로 만들어... (0) | 2020.03.13 |
암세포의 물리적인 치료법, 터뜨려 암세포 죽이는 나노버블 (0) | 2020.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