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C(antibody-drug conjugate, 항체 약물 중합체) 분야가
바이오 신약으로서 가치를 재조명 받고 있습니다.
기존 ADC 항암제는 종양에 타게팅하는 항체에
강한 세포 독성을 가진 약물을 결합시킨 중합체를 의미합니다.
기존 ADC는
1. 항암 효과가 높으면 독성이 심해지고,
반대로 안전성을 높이면 항암 효과가 충분하지 못한다는 점과
2. ADC에 결합하는 약물은
종양세포를 사멸하는 세포독성 약물 개발에만
초점을 맞췄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현재 개발중인 ADC약물의 특징은
1. 약물의 작용기전을 다양화 (새로운 개념의 약물 결합, 새로운 종양 타겟팅 항체 개발) 하거나
2. 면역관문 억제제와 병용요법 파트너로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결과적으로, ADC는 항체에 결합하는 약물이
치료영역을 결정짓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어떠한 약물을 결합하느냐에 따라 치료영역이 넓어질 수 있어
바이오텍들이 항체에 붙이는 약물을 다양화 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A:
항암제 개발 동향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기사를 가져와 보았습니다.
예전에는 항체와 약물을 결합하는 링크가 불안정해서
항체가 타겟에 도달하지 못했음에도
약물이 분리되는 등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제는 그런 부분들이 더욱 화학적으로 정교해져 극복될수 있는것 같습니다.
앞으로 면역항암제와 더불어 ADC 관련 연구도 기대가 됩니다.
B:
좋은 내용에 기사라 생각됩니다.
제작년부터 취업활동을 위해 알아본 분야중에서
면역 항암제 연구개발이 굉장히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느꼈었습니다.
아직 이론을 실현화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ADC처럼 새로운 방향의 항암제 개발도
면역 항암제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되네요!
C:
약물기전이 다양화되고 새로운 타겟팅 항체들이나오면서
다양한 종류의 ADC가 개발되어 지고 있군요.
하나의 플랫폼 개발로 여러 타겟들에 대해
적용시킬 수 있는 좋은 방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몇년전부터 ADC개발 기사들이 나오고 있었는데
이제는 뭔가 좀 더 구체화된 느낌입니다.
D:
최근에 채용시장에서 가장 채용히 활발히 이루어졌던 분야네요.
인류의 수명연장을 위해 더 활발히 연구가 진행될 것 같은 분야에요.
과거와 가장 크게 달라진 점은
ADC분야가 크게 발전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투자한 기업이 있었고,
그것이 성공적인 제품개발로 이루어졌다는겨죠.
이를 바탕으로 활발히 채용히 이루어지는거 같고요.
작년에는 이쪽으로만 너무 채용이 활발하다 보니
저도 이 전공을 했었어야했나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었죠...
E:
늦은답글 죄송합니다.. 기존의 항암제는 독성이 너무 강하다는 한계점때문에 ,
면역항암제가 유망하게 주목받고 있다는 점만 주목하고 있었는데.
기존의 ADC도 투자와 연구를 기반으로 발전하고 있었군요.
취업시장이 이쪽으로 많이 이루어진다는 사실도 의견을 통해서 처음알게 되었네요.
http://nov.ncc.re.kr/이병철-차세대-항체약물중합체-next-generation-antibody-drug-conjugate동향/
[이병철] 차세대 항체약물중합체 (next generation antibody-drug conjugate)동향 | 국가항암신약개발사업단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nov.ncc.re.kr
http://m.medipana.com/news_viewer.asp?NewsNum=253864&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ADC 항체` 약물 다시금 포문‥치료영역 훨씬 더 넓힌다
..
m.medipana.com
'HOW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섬유아세포로 세포 시계 되돌려 배아줄기 세포와 흡사한 수준으로 만들어... (0) | 2020.03.13 |
---|---|
암세포의 물리적인 치료법, 터뜨려 암세포 죽이는 나노버블 (0) | 2020.03.12 |
MIT에서 발표한 2020년을 빛낼 10대 기술들 (바이오 관련 3대기술) (0) | 2020.03.04 |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항생제를 찾을 수 있을까? (0) | 2020.02.25 |
[기사요약] 무생물이지만 생물같은 바이러스 생명체 발견! (0) | 2020.02.21 |